저희 팀은 카페나 커피 정보에 따른 상호작용 데이터를 기존의 서비스나 플랫폼에서 검색하기 매우 까다로웠던 조건을 쉽게 검색하기 위해
유저가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데이터 체크 부문을 확인 하며 해당 요소들에 대한 DB 를 수집 하여 일부 프롬프드를 만들고
초기 단계에 어시스턴트 API를 내부적으로 테스트를 해서 생각보다 놀라운 퍼포먼스를 도출 할수 있었습니다. 지금은 GPT 4o 모델이 나왔고
더욱 품질이 좋아 졌으니 . 이에 대해 별도로 영위하시고자 하는 산업 영역의 db를 구성 하시고 테스트 해보시는것을 추천 드릴꼐요.!
나만의 챗봇은 GPTS 로 충분하고 누군가 혹은 유저와 같이 사용을 하고 싶다. 하면 어시스턴트 API 를 추천 드립니다.
매우 간략하게 DB 를 구성하고 비즈니스 적으로 돌아가는지 확인 후 추가적으로 보완할 부문을 찾아 디벨롭 하는게 제가 테스트및 선호하는 방법 이였습니다.
아무래도 AI 분야 쪽 지식이 미흡하고 역량도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해요.
극 초기엔 구글시트에 입력폼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고 / 이를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 해서 반영하였습니다.
토큰 비용은 다소 발생 하였으나 프롬프드 조정, 및 벡터 db 를 활용한 벡터서치를 노려본다면 외부 논문이나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
90% 정도 토큰 비용을 절감 할수 있을 정도로 최적화가 가능해 보입니다.
지금은 국내 RAG 관련 솔루션 기업들도 많이 나왔으니 둘러보시는것도 추천 드릴꼐요.!